물은 살아가는데 정말 중요한 점들이 많이 있다.
물이 많이 부족하면 급히 물을 마시게 되는데
기계가 오작동 되는 이유도 이와 마찬가지이다. 물을 잘 마셔줘야
혈류도 잘 흘러가서 몸의 혈액순환이 잘 될 수 있다.
그러니 다음과 같은 조건에서 물을 잘 마셔야 한다.
1. 찬물을 너무 마시지 마라.
찬물은 시원하지만 몸의 체온 낮추게 하기 때문에 찬물을 너무 많이 마시는 건 좋지 않다.
몸 안에 있는 장기들은 체온과 비슷한 상황이 되어 있어야 장기들이 잘 활동할 수 있다.
그런데 막 차가운 음식을 계속 마신다면 장기들이 더 활동하는걸 저해하거나 몸의 찬 기운이 남아
감기에 걸릴 가능성도 있을 수 있다.
2. 미지근한 물이 가장 체온에 좋은 물이다.
나는 정수기 물을 안마시고 물을 사먹는다.
정수기 물도 정수가 있지만 사먹는 물을 바닥에 두고 나면 차가웠던 물이 미지근해지는데
마실 때 목넘김도 편하고 마실 때 불편한 감이 없어서 아주 좋다.
실제로 나는 나이가 먹어가면서 점점 찬물을 피하고 미지근한 물이 더 목넘김에 좋아서 그렇게 하고 있다.
찬물은 찬 기운이 몸에 오래 남는지 배가 차가워서 배탈이 나거나, 감기기운에 더 일어나기 쉽상이다.
몸이 좋아하는 물을 마시도록 노력하자.
3. 정수기 물 중에 큰 물통 정수기가 좋다.
수도랑 연결한 정수기는 여과기가 있으니 안전하게 마신다고 생각하지만 생각보다 그렇게 완벽하게 100% 여과시키기엔
미세하게 안보이는 것들은 물을 통해서 우리 몸에 쌓인다.
요즘 나오는 음식물에도 우리 눈에 안보이는 아주 미세한 플라스틱이 있다.
해양생물들 사체를 보면 플라스틱이 나오는 것처럼 우리도 죽으면 플라스틱 조각들이 있지 않을까싶다.
그래서 물은 큰 정수기 통 배달 받아서 연결해서 먹는게 제일 안전하다고 생각한다.
아 또한 연결부분에 물 찌꺼기가 있을 수 있으니 닦아줘야 한다. 큰 물통 연결부도 닦아줘야 깨끗한 물을 마실 수 있다.
4. 컵에 따라 마시는게 좋다.
1.5L 물을 마실 때 대부분 입대고 마시는 경우가 많은데, 왜냐면 자취를 하고 있고 딱히 누가 오는 것도 아니기에
혼자 살고 있는 자취인은 그렇게 마시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연예인들도 나혼자산다 프로그램에서 보면 1.5L물을 입대고
벌컥벌컥 마신다.
이렇게 마시고 나면 구멍 주위에 입의 있던 미생물들이 남아있고, 이것들이 냄새를 유발하고, 오염이 되기 때문에
물은 컵에 따라 마시는 것이 가장 안전하게 마시는 방법이라고 보시면 되겠다.
5. 커피는 되도록이면 마시지 마라.
커피는 많은 사람들의 필수품이 되었다. 회의시간에도 일하는 시간에도 새벽까지 공부하는 학생들도 필수로 커피를 마시는 경우 많다. 하지만 커피는 우리의 입 주변을 건조하게 하고, 입냄새를 유발시킨다. 거기에 담배까지 핀다면?
최악의 누런치아와 입냄새를 유발시킬 수 있다. 그러기에 커피는 되도록이면 안마시는게 좋다.
졸린 눈을 극복하고 싶다면,,, 커피를 최대한 멀리하고 차를 마시거나 뇌를 자극시키는 사탕이나 껌이 더 나을 수 있다.
6. 물을 자주 마셔라.
한 번에 많이 마시지 말고, 자주자주 마셔주는 것이 좋다. 이건 삐걱대는 기계에 윤활유를 자주 뿌려주는 것과 같은 이치이다.
그러면 기계는 오작동없이 꾸준히 잘 작동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몸도 기계라고 생각한다면 물을 자주 마셔주는 것이 좋다. 항상 가지고 다닐 수 있도록, 텀블러를 사서 물을 가지고 다니는 것이 좋다. 혈액순한이 좋아야 몸 건강을 오래 유지할 수 있다.
7. 마지막으로 마시는 물 말고 쓰는 물을 잘 아껴쓰자.
마시는 물 말고 쓰는 물들은 되도록 아껴 쓰는 것이 좋다.
많이 쓰면 쓸수록 다른 집에 누군가는 물을 졸졸졸졸 잘 안나온다.
이게 월세 원룸에 살고 있는 사람에게는 참 짜증나는 일이다.
일부러 욕먹일려고 한 의도가 아니지만 누군가에게는 피해가 온다.
나비효과처럼 우리가 막 쓰면 저 멀리 아프리카나 미국에서는 엄청난 일이 일어나게 된다.
북극과 남극에서는 이미 엄청난 피해가 일어나고 있다.
물을 아껴서 잘 쓰고 폐수 몰래 버리지 말고, 물 막 써서 다른 사람 못쓰게 하지말고,
잘 아껴써서 좋은 지구가 되게 하고, 좋은 사람이 되게 하자.
'my daily'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원룸 구할 때 꼭 반드시 체크해야 될 기준 10가지 (0) | 2025.07.10 |
---|